티스토리 뷰

목차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해야 지급받을 수 있으며, 정규직·계약직·아르바이트 등 고용 형태와 관계없이 적용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1주 소정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 시급으로 산정되며, 급여일에 월급이나 시급과 함께 지급됩니다. 

     

     

     

     

     

     

     

     

     

     

     

     

     

     

     

     

     

     

    주휴수당은 자동계산 💰

    단기근로자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한 주 동안 소정의 근로일을 개근했을 경우, 추가로 유급휴일을 보장받는 제도입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에 명시된 근로자의 권리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는 동시에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는 일주일에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을 경우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 방법

    단기근로자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은 아래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주휴수당 = (1주 소정근로시간 / 1주 소정근로일수) × 시급

     

     

     

    ex)

     

    시급 10,000원,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하는 경우

    • 주 소정근로시간: 40시간
    • 주휴수당 계산: (40시간 / 5일) × 10,000원 = 80,000원

     

     

    시급 10,000원, 주 3일 하루 4시간 근무하는 경우

    • 주 소정근로시간: 12시간 (15시간 미만)
    • 주휴수당 지급 불가

     

    시급 10,000원, 주 4일 하루 5시간 근무하는 경우

    • 주 소정근로시간: 20시간
    • 주휴수당 계산: (20시간 / 4일) × 10,000원 = 50,000원

     

    시급 10,030원, 주 6일 하루 8시간 근무하는 경우

    • 주 소정근로시간: 48시간 (40시간 초과분 인정 불가)
    • 주휴수당 계산: (40시간 / 5일) × 10,030원 = 80,240원

     

    주휴수당 계산이 어려울 경우 온라인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1주일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
      •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지급 대상이 아님.
    2. 소정 근로일 개근
      • 결근 없이 근무해야 합니다. 지각이나 조퇴는 개근에 포함되지만 반복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3. 근로계약 체결 여부와 무관
      • 계약서 없이 근무하더라도 실질적인 근로관계가 인정되면 지급 대상이 됩니다.
    4. 고용 형태 무관
      •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등 모든 근로 형태에 적용이 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조건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1. 주 15시간 미만 근무
      •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결근한 경우
      • 무단결근 시 주휴수당 지급이 불가합니다.
    3. 수습 기간 중 일부 제외
      • 일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일용직 근로자
      • 하루 단위로 고용 계약을 체결하는 근로자는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5. 근무 태도 불량
      • 회사의 내규에 따라 주휴수당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 시기 및 방법

    단기근로자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은 일반적으로 월급이나 급여일에 포함되어 지급됩니다.

     

    • 월급제 근로자: 월급에 포함되어 지급됨
    • 시급제 근로자: 급여일에 따로 계산하여 지급됨

     

     

     

    근로계약서 작성 시 유의사항

     

     

     

    1. 급여명세서 확인
      • 주휴수당이 정확하게 지급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법적 대응 가능
      •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됩니다.
    3. 소급 청구 가능
      • 최대 3년까지 소급하여 청구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최저시급 상승과 함께 주휴수당 제도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현재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인 만큼 본인의 근로조건을 정확히 확인하고 권리를 보장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해 본인의 예상 지급액을 확인하고, 지급받아야 할 금액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급여명세서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출처:홈텍스,  노동 OK